[K리서치] 인터넷(Internet) 순기능은 다양한 정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6 10:42
본문
Download : 081118111723_.jpg
중국이 75.7%, Japan이 68.7%로 나타났으며 국내는 59.8%로 다소 낮았다. 미국은 80.7%로 가장 높았다.
Download : 081118111723_.jpg( 79 )
순서
[K리서치] 인터넷 순기능은 다양한 정보
[K리서치] 인터넷(Internet) 순기능은 다양한 정보
[K리서치] 인터넷(Internet) 순기능은 다양한 정보
이강욱 ETRC 연구기자 wook@
국내 네티즌은 다양한 정보의 검색과 습득을 대표적인 누리망 순기능으로 꼽았고, 개인정보 침해를 가장 큰 역기능으로 여기는 것으로 조사됐다. 4개국 네티즌 모두 두 번째 순기능으로 ‘편리한 커뮤니케이션’을 지목했으나, 응답 비중은 국가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설명





IT전문 조사기관 K리서치가 국내 네티즌 617명과 중국·Japan·미국 네티즌 300명씩 총 151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4개국 누리망 의 순기능과 역기능 인식 조사’ 결과, 국내 네티즌의 91.6%(중복 응답)는 다양한 정보의 검색과 습득을 가장 큰 순기능으로 꼽았다. 중국과 Japan, 미국 네티즌도 각각 88.0%, 90.7%, 83.7%가 이에 동의했다. 국내는 동호회 활동에 대한 순기능 응답률이 33.2%로 4개국 가운데 가장 높았고 미국은 멀티미디어 온라인(online) 교육(43.3%), Japan은 다양한 意見(의견)의 장(64.7%)이, 중국은 누리망 상에서 음악 및 영화감상(49.3%)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다. 하지만 해외 3국은 해킹·바이러스 피해를 가장 크게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중국 73.3%, Japan 59.7%, 미국 61.0%). 중국은 신뢰할 수 있는 정보 부족(39.0%), 음란정보의 범람(31.3%) 등이 뒤를 이었고, Japan은 스팸 메일(46.7%), 사이버 폭력(37.3%)이, 미국은 스팸 메일(50.0%), 개인정보 침해(48.0%) 순으로 나타났다.
문의 (02)2168-9475
[K리서치] 인터넷 순기능은 다양한 정보
레포트 > 기타
한편 누리망 역기능에 관해 국내 네티즌의 48.8%가 개인정보 침해를 꼽았으며 스팸 메일(46.4%), 사이버 폭력(33.7%) 순으로 나타났다. 미국, Japan, 중국 해외 네티즌 역시 정보 검색과 습득을 가장 큰 순기능으로 꼽았으나 역기능에 대상으로하여는 해킹·바이러스 피해를 가장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나 인식 차이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