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신학사상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1 21:56
본문
Download : 한국신학사상사_2040765.hwp
개화파 중에서도 동도서기파는 서양사상인 기독교는 배척하고 우수한 서양기술만을 받아들여서 개화를 하자고 주장하였고(김윤식,김홍집) 급진 개화파(김옥균,박영효,서광범,홍영식,서재필)에서는 종교가 흥하여야 나라가 흥한다고 하면서 기독교를 높이 평가하였고 왕의 신임을 얻어 민족의 요망에 부응하면서 떳떳하게 조심스럽게 들어와 일을 처음 하였는데 병원과 학교선교를 먼저하여 민족의 마음을 잡은 후에 복음의 진리를 가르치고자 했다.
2. 국외에서의 복음수용과 그 신앙 형태
우리나라는 만주와 Japan에 있는 선교사들에 의하여 복음을받아들일뿐 아니라 그 고에 있는 선교사들과 함께 성서를 우리말로 번역하여 그 번역성서를 가지고 동족둘에게 자발적으로 전도하였다.그리고 스스로의 힘으로 교회의 건물을 세우고 교회경비를 조달하였다. Japan에세 공부를 한다고 머물렀던 그는 기독교에 대…(drop)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한국신학사상사_2040765.hwp( 28 )
레포트/인문사회
구한말복음수용의사상
한국신학사상사구한말복음수용의사상 , 한국신학사상사인문사회레포트 ,


한국신학사상사
설명
다. 즉 사회개혁을 선교와 병행하고자했던 것이다.신앙은 철저하고 순교적인 신앙을 가졌다.이 「막」은 언더우드가 한국에 들어올 때에 가지고 들어오게된다된다.이응찬을 어학선생으로 그리고 그의 친구들인 백홍준,이성하,김진기와 함께 성서번역을 하였다.이들은 로스 목사에게 세례를 받았고 1882년 「눅」「요」1884년「막」「마」이 번역되었고 이어서 1887년 「예수성교전서」가 출간되었다.
순서
한국신학사상사
1. 구한말 복음수용의 사상적배경
위정척사파에서는 기독교를 믿으면 금수와 같이 전락하게되며, 전통적 유교文化는 기독교 文化보다 우수하다고 확신하면서 극렬하게 반대하였다. 이들의 신앙형태는 성서권위의 절대성을 받아들인 개신교의 정통성을 바르게 인식하고 성서중심의 신앙생활을 함으로써 한국교회의 성서적 복음주의의 길을 놓았다.
② Japan-민영익의 개인수행요인 이수정은 성서중심의 신앙을 가졌으며 1884년「현토한학신약성서」와 1885년의 「막」을 번역하였다.
① 만주-우장(牛莊)을 선교의 중심지로하여 선교를 하고 있던 로스 목사가 한인촌을 발견하고 토마스 목사의 순교 사실을 듣고 한국에 관심을 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