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복지의 행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1 11:42
본문
Download : 장애인 복지의 행정.hwp
이에 제 2차 계획은 1차의 미흡한 점을 보완, 관련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의 자체 편의증진 계획을 종합하여 수립하였으며, 각 주관부서 및 자치단체에서 자율적으로 집행하되, 민간위원이 참여하는 편의증진심의회를 통해 조정, 통합한 것이다.
1) 추진 방향
- 공공시설의 장애인 접근성(接近性) 제고
- 대국민 인식改善 및 실무자 교육
* 일반국민들이 장애인의 사회참여확대 및 편의증진이라는 차원을 넘어 보편적 설계 (universal design)의 관점에서 장애인 편의시설을 인식할 수 있도록 홍보 및 교육 강화
- 일상생활에서 장애인의 이용이 많은 근린생활시설 및 아파트 등 주거 시설의 편의시설 설치를 확대하여 장애인이 느끼는 편의시설의 설치 체감도(體感度) 제고
- 매년 편의시설 표본 조사 및 5년 주기의 전수조사 실시
- 장애인과 관련 전문가가 공동 참여하는 reality(실태) 평가·조사연구 실시
2) 국가 종합 추진 assignment
- 인적(人的)서비스 제공을 통한 종합적 편의증진 추진
* 장애 유형에 맞는 인적 서비스 제공, 공공청사 인적 서비스 창구 정비
* 인적서비스 제공 · 활용계획 수립
- 공공시설의 편의시설 설치 내실화
* 공공건물에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장애인 화장실(남·여 구분), 경사로 등 편의시설 확충 및 상호 연계 강화
…(투비컨티뉴드 )
장애인 복지의 행정을 analysis한 보고서입니다.
순서
Download : 장애인 복지의 행정.hwp( 66 )
장애인 복지의 행정






장애인 복지의 행정을 분석한 레포트입니다. 복지행정완성본[1] , 장애인 복지의 행정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복지행정완성본[1]
1.장애인의 개념(槪念)
2.장애인 복지의 개념(槪念)
3. 장애인의 현행 관계법과 행정전달체계
4.장애인복지의 재정 - 예산
5. 인사관리
6. 장애인 복지 관련 종사자가 되는 방법
7. 제2차 편의증진국가종합5개년 계획
8. 기관방문
9. assignment후기
7. 제 2차 편의증진 국가종합 5개년 계획
보건복지부는 ‘장애인 · 노인 · 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에 근거하여, 제1차 종합계획에 대한 평가와 새로운 장애인 편의증진 추진방향을 담은 ‘제2차 편의증진 국가종합 5개년 계획(`05~`09)’ 을 편의증진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수립, 시행한다고 밝힌 바 있다 1차 5개년계획을 통해 편의증진 추진체계의 구축, 편의시설 설치 증진 등의 성과가 있었으나 장애인의 편의증진 체감도(體感度) 저조, 편의시설에 대한 낮은 사회 인식 등의 미흡한 점이 있었다.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다.